범부처, 학교 미세먼지 특성 규명·건강영향평가 나서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6일째 시행되고 있는 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마스크를 쓰고 등교하고 있다. /뉴스1
미세먼지 자료사진. /뉴스1

정부가 올해 학교 내 미세먼지 발생 특성을 규명하고 학생 건강영향 평가를 시행하는 등 에너지·환경 통합형 학교 미세먼지 관리 기술 개발에 46억5100만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11일 한국연구재단에서 '에너지‧환경 통합형 학교 미세먼지 관리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범부처 합동 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지난 2018년 4월 수립된 '학교 고농도 미세먼지 대책'과 연계해 과학기술로 미세먼지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약 300억원 규모를 투자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그 중에서도 올해 46억5100억원 규모의 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한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40억1500만원, 교육부는 6억3600만원을 투자한다.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 사업은 △기초·원천 △통합관리 △진단·개선 △법·제도 개선 등 4개 연구그룹으로 나뉜다.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실증과 법·제도 개선까지 통합한 패키지 형태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기초·원천 분야에서는 외부 환경이나 활동도 기반 학교 건물 내 미세먼지 발생 특성 규명하기 위해 14억을,  미세먼지 노출 특성별 학생 건강영향평가와 중재효과 분석하기 위해 6억을 투자한다. 학교 미세먼지 발생·유입·건강 영향 등 기초자료를 확보해 과학적 기반의 체계적 지원·관리 체계를 수립하는 게 목표다.

통합관리 분야에는 8억원이 투입되며, 신재생 에너지 연계 실내외 열·공기 환경 정보연동 청정공조환기 시스템 개발하는 게 목적이다. 진단·개선 분야에는 학교 유형별 현황 조사 후 실제 학교 대상에 개선방안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9억5100만원이 지원된다.

법‧제도 분야는 학교 미세먼지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3억원, 빅데이터 수집·처리·분석기법과 에너지·환경 연계 관리 기술 및 통합 지원체계 개발을 위해 2억원이 투자된다.

사업단은 오는 13일부터 7월12일까지 한국연구재단 누리집을 통해 과제 공고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