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스마트워크센터 강남고속터미널센터에서 열린 교육당국과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간 막판 노사 교섭에서 교육당국 측 김선욱 광주광역시교육청 과장이 모두발언하고 있다. /뉴스1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스마트워크센터 강남고속터미널센터에서 열린 교육당국과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간 막판 노사 교섭에서 교육당국 측 김선욱 광주광역시교육청 과장이 모두발언하고 있다. /뉴스1

학교급식 조리종사원과 돌봄전담사 등 학교비정규직들이 3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파업 직전 교육당국과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가 벌인 막판 교섭마저도 결렬돼서다.

이에 따라 전국 상당수 학교의 급식·돌봄 공백이 현실화 됐다.

2일 교육부와 학비연대에 따르면, 양측은 이날 오후 1시부터 6시간 동안 막판 교섭을 벌였지만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양측의 이견이 컸던 게 결렬 원인이다. 학비연대는 기본급 6.24% 인상과 근속수당 등 각종 수당 지급 시 정규직과의 차별 해소를 요구했다. 또 문재인정부 임기 내 학교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공무원 최하위 직급)의 80% 인상하는 것도 촉구했다. 반면 정부·교육당국은 기본급 1.8% 인상(경기 지역은 기본급 0.8% 인상)을 제안했다.

학비연대 관계자는 "파업 직전 교섭은 결렬됐다"면서도 "다만 파업 중 혹은 파업 이후 사용자(정부·교육당국) 측이 진전된 안을 제출할 경우 언제든 교섭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막판 교섭 결렬에 따라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예정대로 3~5일 사흘간 총파업을 진행한다. 학비연대에 따르면, 3일간 총 9만여명이 총파업에 참여하고 파업 학교 수는 전체(국공립 유·초·중·특수학교)의 약 40%에 해당하는 6000여곳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교육당국은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교육당국 집계에 따르면 서울 105곳, 부산 70곳, 광주 132곳, 경남 247곳 등을 비롯해 전국 각지 학교의 정상급식이 어려울 전망이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직원 등을 활용해 최대한 정상적으로 급식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급식 제공이 어려운 학교는 도시락 등 대체식을 제공하거나 개별 도시락 지참, 단축수업 등의 조치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 공백이 예상되는 돌봄교실 운영도 업무를 대행할 근무조를 꾸려 차질 없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