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사회협약 이끄는 김거성 감사관, 본인 둘러싼 의혹 해소는 불투명
'유연근무제로 6개 겸직 업무 소화했다'고 주장..출퇴근 기록은 비공개

지난해 2015년 6월 경기도교육청에서 열린 시민감사관 임명식에서 발언하고 있는 김거성 감사관. 경기도교육청 블로그 캡처.
지난 2015년 6월 경기도교육청에서 열린 시민감사관 임명식에서 발언하고 있는 김거성 감사관. 경기도교육청 블로그 캡처.

"말단에서의 부패에 대해서는 가차 없이 처벌하지만 고위층에서의 조직적이고 구조화된 부패에 대해서는 눈을 감고 판단을 굽히게 만드는 일이 한국사회에서 보다 공고한 유형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대한민국 대표 반부패 시민단체인 한국투명성기구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김거성 경기도교육청 감사관이 언론을 통해 한 말이다. 대한민국 사회의 부패 현상을 진단한 것이다.

하지만 정작 김 감사관 자신도 이 같은 유형의 문제를 되풀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감사관은 겸직과 출장 등의 문제를 일으킨 피감기관 관계자들에 대해서 그 소속기관에 행정처분을 요구했다. 

그러나 그러한 감사 조치는 피감기관 직원들에게만 적용했다.

김 감사관은 최근 본지 보도에 의해 공직자로서 지켜야 할 각종 복무규정을 위반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겸직과 관련해 복무규정을 위반했고, 재임 중 부적절해 보이는 출장도 반복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사회복지법인 대표이사 등 모두 6개 직책을 겸임하면서 교육청 허가 없이 목사직을 유지한 사실이 드러났고 재임 기간 직무와 무관해 보이는 출장도 숱하게 다녔다.

이와 관련 감사관인 그는 자신을 둘러싼 의혹과 논란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했다. 의혹에 대한 해명은커녕 언론의 정당한 취재 또한 회피했다.

도교육청에서 투명사회협약을 주도한 인물이지만 유독 자신에 대한 문제 제기에 대해서는 투명하지 않은 모습을 보인 것이다. 말과 행동이 다름을 뜻하는 '언행불일치(言行不一致)'의 전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김 감사관의 표리부동(表裏不同)은 이뿐이 아니다.

본지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해 '6개 겸직' 업무를 소화했다는 김 감사관 측 주장을 확인하기 위해 그의 출퇴근 기록 등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개를 요청했다. 하지만 도교육청 감사관실은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 공적인 출퇴근 기록을 놓고 '개인 사생활에 해당한다'는 납득할 수 없는 이유를 댔다.

이에 본지는 이의신청에 나섰다. 하지만 도교육청은 지난 4일 내부인사 4명 외부인사 3명으로 구성된 정보공개심의위원회(위원장 강병구 도교육청 기조실장)를 통해 '기각' 결정을 했다.

기각 이유는 역시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 침해'였다. 심의위는 유연근무제를 통해 출퇴근하는 것을 '개인 사생활'로 판단했다. 당시 도교육청은 정식 회의가 아닌 심의위원들에게 서면을 돌려 이 같은 결정을 받았다.

1999년 시민단체인 반부패국민연대 창립을 주도한 이래 부패청산과 투명사회 만들기를 시민운동의 주요한 영역으로 만든 김거성 감사관의 '출퇴근 내역 공개불가' 입장을 그대로 반영한 셈이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김거성 감사관이 이끄는 경기도교육청 감사관실은 산하 교육기관 감사에는 혹독했다. 그러나 투명사회를 만들자며 각종 감사와 함께 투명사회협약을 종용한 당사자가 정작 자신의 오점에 대해서는 감사관 직위를 활용해 투명하지 않은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어느 누가 김 감사관이 주도하는 감사에 대해 신뢰를 가질 수 있겠느냐"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