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소가 제안한 유아 평화・통일교육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가 제안한 유아 평화・통일교육 개선방안

국무총리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육아정책연구소가 초등학교부터 중등학교 학생뿐 아니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들에게도 평화통일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아래>

그런 맥락에서 볼 때 강득구 의원을 비롯한 더불어민주당의 통일교육 지원법 개정 추진은 육아정책연구소와 방향을 함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7월 8일 통일교육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하기에 앞서 강 의원은 육아정책연구소와 지난 5월 27일 육아정책연구소 대회의실에서 ‘남북한 어린이의 교육·보육 현황과 미래 발전 방안’ 심포지엄을 공동 주최했다.

심포지엄에서 육아정책연구소 박창현 미래교육연구팀장은 “2019년 9월 19일 평양공동선언 이후, 여러 대북 정책들이 굴곡은 있지만, 여전히 추진 중에 있고, 이러한 북한과의 협력과 번영 정책의 핵심은 평화”라며 “이러한 정책의 흐름에 발을 맞추어 유아교육과 보육 분야에서도 평화를 중심으로 통일 한반도에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탁아소), 교육의 방향 등을 새롭게 그려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아교육과 보육 분야에서는 90년대 이후, 평화・통일교육에 대한 논의가 멈추어져 있다. 특히 누리과정 시대에 접어들어 유아교육과정의 중점이 바뀌면서 평화・통일교육에 대한 관심이 현격히 줄어들었고, ‘통일’이라는 용어를 꺼내는 것조차도 어색한 상황이 됐다”며 “현재 통일교육지원법도 초중등교육법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유아들의)평화통일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도 부족하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이원화된 구조는 통합적 접근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통일대비 유아 평화・통일 교육의 방향성, 교육과정, 교사교육 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등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 평화・통일교육을 위한 법제도 개편,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고 했다.

강 의원 역시 환영사에서 “분단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국민도 분단 상황에 어느덧 익숙함을 느끼며 일상생활 속 통일 관심이 역시 옅어지고 있다”며 “이것이 바로 유아기부터 평화통일교육에 대해 사회적으로 합의하고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하는 이유”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