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전후 학생들의 심리와 정서 변화 연구 보고서.
코로나19 전후 학생들의 심리와 정서 변화 연구 보고서.

아동 청소년들의 절반 정도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정서적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이수광)은 전국교육정책연구소네트워크 공동연구과제로 추진한 코로나19 전후 학생들의 심리와 정서 변화 연구 보고서(연구책임 이근영 연구위원)를 최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서울, 경기, 인천, 광주, 충남, 전북 지역의 초·중·고 학생(초2~고2) 2만7976명의 코로나19 이후 심리정서 변화 실태를 담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학생들의 정신건강 우울/불안 항목(걱정, 불안한 마음, 슬프고 울적한 마음, 혼자 남겨진 것 같은 생각, 죽고 싶은 생각) 중 한 가지라도 늘었다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의 50.3%로 나타나 절반 정도의 학생이 코로나 블루(코로나로 인한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8가지 스트레스 항목(보호자와 의견충돌, 보호자의 지나친 간섭, 수업 진도, 숙제·과제물, 성적·시험, 진로진학, 외모, 용돈 부족) 중 한 가지라도 늘어났다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 66%로 나타났다.

이어 숙제·과제물 스트레스(40.7%)와 진로진학 스트레스(33.6%), 외모 스트레스(30.8%)가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1, 2, 3순위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들 중 64.2%는 코로나19에 감염될까봐 걱정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미래가 불안하다고 응답한 학생도 54.3%에 이르렀다.

경기교육연구원은 코로나19 이후 학생 심리정서는 학생들의 일상생활, 학습활동·학교생활, 대인관계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반적으로 이전과 비슷한 일상을 유지했던 학생들에 비해 일상의 변화(잠자는 시간, 친교활동, 취미·여가활동, 신체활동 등 감소)를 겪은 학생들일수록, 온라인수업 및 등교수업에 따른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 적응도가 낮을수록, 보호자/친구/선생님 등 모든 대인관계에서 함께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고 관계의 질이 낮을수록 학생들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정신건강, 스트레스)이 증가했고, 긍정적 심리정서(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성취동기) 수준은 낮아졌다고 했다.

특히 학생들이 가진 특성(학교급, 가정 경제상황)에 따라 코로나19 전후 심리정서 변화 수준은 학생들 간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학교급이 높을수록, 가정경제수준이 낮을수록 학생들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정신건강, 스트레스)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