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 초1~고1로 확대

박백범 교육부 차관이 28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이 28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앞으로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모든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진단한다.

교육부는 28일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전년보다 증가함에 따라 마련한 대책이다.

지난해 중·고등학교 학생 모두 전년도와 비교해 '보통학력 이상'은 대체로 줄고, 전과목에서'기초학력 미달'이 늘었다. 보통학력 이상은 교과과정의 50% 이상을 이해한 것을 말하고, 기초학력 미달은 20%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을 뜻한다.

교육부는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초등학교 3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만 적용하던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을 초1부터 고1까지로 확대해 시행한다.

2016년까지 전수평가 방식으로 실시하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2017년 표집방식으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전체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우려가 있었다. 교육부는 진단 대상을 확대하고 여기서 나온 결과를 향후 기초학력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진단-보정 시스템은 3월에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기초학력 수준을 진단하고 학습 부진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이다. 2009년 처음 개발됐던 프로그램을 리뉴얼했다.

시스템은 3월초 초기 진단 이후 6월에 1차로 향상도를 진단한다. 그래도 기초학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면 9월과 11월 두 차례 더 향상도 진단을 하는 방식이다. 그 사이 교사들은 진단 결과를 반영해 맞춤형 학습 지도에 나선다. 진단 결과는 보호자에게도 통지해 가정에서도 학생의 습관이나 태도 등과 연결해 학습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초학력 진단은 반드시 실시하되 진단 도구나 방법은 학교가 자율적으로 선택해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해당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 외에도 각 시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스템과 다양한 진단도구를 소개하는 안내 자료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한 기초학력 보장 선도·시범학교 수도 지난해 42곳에서 올해 61곳으로 늘리고, 내년에는 80곳까지 확대한다.

두드림학교도 지난해 2720여곳에서 올해 3700여곳을 거쳐 2022년에는 5000곳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두드림 학교는 가정 환경을 비롯해 복합적인 요인으로 학습이 부진한 학생을 위해 담임·특수·상담·보건·돌봄 교사 등 학내 다중지원팀을 구성해 대응하는 학교다. 상담과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진단하고 맞춤형 학습을 제공한다.

박백범 차관은 "예비 교원 단계에서 학점 연계나 봉사활동 등을 통해 학교현장에서의 기초학력 지도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교원 양성과정 개정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교육부.

처음 학교에 들어온 초등학생을 위한 지원도 늘린다.

1학년 학생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가급적 받아쓰기나 알림장, 일기쓰기 등은 지양하고 웹 기반으로 학생들에 맞는 한글 학습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한글 또박또박'을 활용해 기초적인 문해력을 키울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한글을 깨우친 뒤 2학년부터는 누구나 글을 정확하고 빠르게 읽는 유창성을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 차관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 기초학력미달로 한번 떨어지면 복구하기가 어렵다"면서 "가급적 빠른 시기에 그 모자라는 부분을 바로잡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대도시에 비해 읍면 지역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높았던 것을 고려해 저소득층 밀집지역이나 농산어촌 지역학교를 중심으로 교사나 예비교원, 교원자격증 소지자, 퇴직 교원 등의 보조인력을 투입해 학습 지도를 돕는다.

학교 밖 지원도 확대한다. 전국 시도교육청이 운영하는 학습종합클리닉센터를 통해 기초학력 향상을 지원한다. 학습치료나 심리상담, 교수학습 등 전문가로 구성된 지원팀이 학교나 학부모가 요청하면 찾아가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현재 전국에서 118곳의 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2022년까지 전국 시도 교육지원청 숫자만큼인 177곳 이상으로 늘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방식도 향후 지필평가로 측정이 어려운 부분도 평가할 수 있도록 컴퓨터 기반 평가(CBT) 방식 도입을 추진한다. 박 차관은 "학업성취도 검사는 계속 표집형태로 시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기초학력보장법'이 통과되는 대로 시행령을 만들어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수립과 진단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추후 국가 차원의 '기초학력지원센터'를 지정해 실태분석과 정책 연구도 맡긴다.

유은혜 부총리겸 교육부장관은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 적용을 대폭 확대해 학생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면서 "초등 저학년 단계를 집중 지원해, 출발선에서 불평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