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 노리는 조희연…2·3위 후보 단일화 변수

서울시교육감후보인 박선영(왼쪽부터), 조영달 후보, 조희연 후보가 지난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특별시선거관리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후보자와 함께하는 정책선거 실천 협약식'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서울시교육감후보인 박선영(왼쪽부터), 조영달 후보, 조희연 후보가 지난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특별시선거관리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후보자와 함께하는 정책선거 실천 협약식'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뉴스1

6·13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31일 시작되면서 '교육 소통령'으로 불리는 서울시교육감 선거전의 막도 올랐다.

진보 성향의 조희연 후보, 중도를 표방하는 조영달 후보, 보수 성향의 박선영 후보가 3자 대결을 벌인다.

핵심 관전 포인트는 '진보 후보의 수성이냐, 중도·보수 후보의 대역전이냐'다.

현직인 조희연 후보는 자리 수성을 위한 재선 출사표를 던졌다. 현재까지 발표된 모든 여론조사에서 후보 적합도 또는 지지율 1위를 달리며 순항 중이다. 현직 프리미엄과 인지도가 한몫했다는 평가다.

조영달 후보는 역전을 노린다.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고교 교사, 사범대학 교수 등 강점인 교육분야 전문이력을 내세워 표심 잡기에 나섰다. 정치와 이념에 흔들리는 교육을 구하겠다는 호소도 하고 있다.

박선영 후보도 판세 뒤집기에 나선다. 진보 교육정책에 거부감이 있는 학부모들을 집중 공략하겠다는 복안이다. 박선영 후보 측은 이른바 '샤이(shy) 보수'(보수성향임을 드러내기 꺼리는 유권자)가 가담하면 대역전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대 변수는 단일화다. 지지율 2·3위 후보가 손을 잡을 경우 선거 판세가 뒤집힐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교육계에서는 단일화 데드라인을 사전투표일 전날인 6월7일로 보고 있다.

세 후보 간 핵심공약 대결도 관심사다. 조희연 후보는 교육감 재임 시절 추진했던 '미래역량 강화를 위한 수업·평가혁신' '혁신학교 확대' 등 기존 정책을 안정적으로 이끌겠다는 게 기본 방침이다. 남북 화해 분위기를 계기로 평화교육을 활성화하고 한발 더 나아가 지구촌 평화를 위한 세계시민교육도 추진하겠다는 복안이다.

중도를 표방하는 조영달 후보는 학생들의 꿈을 키우는 '드림캠퍼스'를 핵심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고교 2, 3학년 학생들이 자유롭게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학교와 지역사회가 돕는 캠퍼스형 공동·연합교육시스템이다. 학력·체력·인성·시민성·진로탐구능력 등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키워주는 기초역량 보장제도 제안하고 있다.

박선영 후보는 '학생·학부모 고교선택권 완전보장' 공약을 앞세운다. 학생·학부모들이 학교유형이나 소재지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고교에 지원할 수 있고, 각 고교도 면접 등 자체전형을 운영해 선발할 수 있는 제도다. 또 초·중·고 학력평가를 실시해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교에는 학력신장 방안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현안·쟁점 공방도 관심을 모은다. 교육주체들의 피부에 와닿는 내용인 만큼 후보별 입장에 따라 표심이 갈릴 수도 있다.

최근 새 대입제도 개편과 맞물려 주목 받는 대입정책은 후보 간 입장이 제각각이다.

조희연 후보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정시전형의 지나친 확대 지양과 불투명성·공정성 문제가 있는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의 보완을 주장한다. 수능 평가방법은 궁극적으로는 5등급 절대평가로 가야 한다고 본다.

조영달 후보는 수시·정시비율을 현행 수준(2020학년도 대입 기준 수시 77.3%, 정시 22.7%)으로 유지하고 수능 절대평가 과목은 단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선영 후보는 수시 50%, 정시 50%로 전형 간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능 절대평가 전환은 반대한다.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 관련 입장도 조희연 후보는 폐지, 조영달 후보는 존치하되 추첨제로 선발방식 전환, 박선영 후보는 존치로 조금씩 결이 다르다.

서울시교육감은 학생 약 100만명이 다니는 2200여개 유·초·중·고교를 지휘·감독하고 6만6000명에 이르는 교육공무원들의 인사권을 쥔 요직이다. 9조원이 넘는 교육예산 배정도 그의 권한이다. 서울교육의 주요정책이 국가정책으로 반영될 만큼 영향력도 커 '교육 소통령'이라는 별칭이 따라 붙는다.